미분양 주택 수가 지난해 2월 이후 감소세를 보이다가 10개월 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남산) / 사진 = 서울뉴스통신 신현성 기자
미분양 주택 수가 지난해 2월 이후 감소세를 보이다가 10개월 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남산) / 사진 = 서울뉴스통신 신현성 기자

미분양 주택 수가 지난해 2월 이후 감소세를 보이다가 10개월 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특히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수가 지난해 10월 이후 석 달 연속 1만 가구를 넘어서면서 건설업계의 유동성 위기가 심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3년 1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2489가구로, 전월(5만7925가구) 대비 7.9%(4564가구) 증가했다.

미분양 물량은 지난해 2월에 7만5438가구로, 10여 년 만에 최고치를 찍은 뒤 3월부터 9개월 연속 감소한 뒤 다시 증가세로 전환했다.

수도권 미분양 물량이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미분양 물량은 1만31가구로, 전월(6998가구)보다 43.3%(3033가구)나 급증했다. 전체 미분양 물량 증가분의 3분의 2가 수도권에서 나온 셈이다.

인천이 3270가구로, 전월(1298가구)보다 두 배 이상 증가했고, 경기는 5803가구로, 전월(4823가구) 대비 20.3% 늘었다. 서울도 81가구(9.2%) 늘어난 958가구로 집계됐다.

악성 미분양이라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도 1만857가구로, 전월(1만465가구) 보다 3.7%(392가구) 증가했다. 지난해 10월(1만224가구)부터 3개월 연속 1만 가구를 넘어섰다. 준공 이후에도 미분양 물량으로 남은 주택이 꾸준히 늘면서 건설사들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건설업계의 유동성 위기가 현실화하고 있다.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이 쌓이고, 자금 회수가 어려워지자, 건설업계의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다.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29일까지 폐업을 신고한 건설사(종합·전문공사업 변경·정정·철회 포함)는 총 360곳으로 집계됐다.

폐업신고건수는 작년 동기(281건)와 비교해 28.1% 증가했다.

분양시장에서는 전반적인 부동산 시장 침체 속에서 공사비 증가로 인한 분양가 상승과 고금리 기조 장기화 등 악재가 겹치면서 청약 수요가 줄고, 청약자들 역시 계약을 대거 포기하면서 미분양 물량이 증가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정부는 지난 1·10 대책을 통해 올해부터 2년간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을 매입하면 종부세 등의 산정 때 주택 수에 포함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권대중 서강대 일반대학원 부동산학과 교수는 "미분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세제 완화 등 다양한 지원책을 검토해야 한다"며 "양도세 면제 등을 통해 주택 거래를 활성화하고, 미분양 물량을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조절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악성 미분양이 늘어날수록 PF대출 부실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새수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