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종 편집인
김인종 편집인

항공인프라와 산업은 21세기에 접어들며 가장 중요한 부가가치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기존의 육로와 항만으로 대표되던 물류 운송 또한 하늘길로 대표되는 항공 운송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어 공항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는 상황이다. 이런 시대적 변화와 경기 남부권 반도체 클러스터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서 경기국제공항 건립을 요구하는 여론이 들끓고 있다.

역사적으로 경기국제공항의 시초는 2013년 ‘군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면서부터이다. 이후 2014년 수원시는 ‘군공항 이전 건의서’를 국방부에 제출했고 국방부는 소음과 보안유지의 어려움, 노후화된 시설을 근거로 2015년 6월, 기지의 확장 이전을 최종 승인했다. 이후 2017년 화성 화옹지구를 예비 이전 후보지로 선정하면서 군공항 이전이라는 수원 시민의 숙원이 이뤄지는 듯 했다.

그러나 화성시에서 이 사안에 대해 극렬하게 반대하면서 난관에 부딪히기 시작했다. 이에 국방부·공군본부·경기도·수원시·화성시 5자가 참여하는 '갈등관리협의체' 회의를 지속적으로 진행했으나 화성시의 계속된 불참이 이어졌다.

이런 상황 속에서 2015년 7월에 수원의 오피니언을 중심으로 수원군공항 이전 수원시민협의회(現 경기국제공항시민협의회)를 창설했다. 시민협의회는 장성근 변호사와 김훈동 고문을 공동 회장으로 선출하며 수원군공항 이전의 필요성과 당위를 적극 홍보하는데 힘썼다. 이후 민간공항과 군공항을 함께한다는 국방부의 ‘통합공항’ 아이디어가 나오면서 ‘경기국제공항’과 관련된 논의가 2020년부터 진행됐다. 이에 단체 이름을 경기국제공항시민협의회로 변경했고 현재까지도 경기국제공항 건립을 위한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장성근 시민협의회 회장은 창설부터 지금까지 단체를 이끌면서 수원 군공항 이전을 넘어 경기국제공항의 건립을 목표로 의욕적으로 활동했다. 본업인 변호사 업무까지 일정 부분 손해보면서 국회, 국토부, 국방부를 설득하고 지역 여론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9년째 이어왔다. 이에 부응하듯 화성시의 여론도 점차 찬성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그 과정이 순탄하지만은 않았는데 지난 5월 시의원의 실언으로 인한 해프닝으로 홍역을 치르기도 했고 경기도가 조례를 통해 경기국제공항만 언급한 채 수원 군공항을 배제했기 때문이다.

이에 시민협의회와 장성근 회장은 지역 오피니언과 기관·단체들과 함께 여론을 모으기 위해 지난 7월부터 수원문화원을 시작으로 수원상공회의소, 수원예총 등 경기국제공항 건립을 위한 릴레이 업무협약(MOU)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수백개의 단체와 협약을 맺게 된다면 성명서 발표나 기자회견을 할 시, 큰 힘이 될 수 있어서다.

곧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의 포화상태가 되는 만큼 경기국제공항이 건립된다면 그 수요를 분담하는 것은 물론 물류비용 절약과 인근 지역의 경기부양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공항을 넘어 동북아의 허브공항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잠재력도 있다.

이렇듯 군공항 이전에서 시작된 경기국제공항 사업은 오랫동안 수원과 화성지역의 뜨거운 현안이었다. 그만큼 큰 파급력을 가지고 있어 양 지자체의 첨예한 대립과 갈등이 있었다. 그러나 이제는 모두가 환영하고 이득을 보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기에 과거는 잊고 앞으로 공항 건립을 위해 앞으로 나아갈 시기이다. 장성근 회장은 얼마 전 본지와의 인터뷰 끝 무렵에 “세상일이라는 것이 가만히 있다고 해서 언젠간 될 거라고 해주지 않는다. 중앙정부나 인근지역을 상대로 ‘대한민국의 일이다’ ‘후대를 위한 일이다’ 마음속으로 생각만 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어달라”라고 호소했다. 모두를 위한 사업인 만큼 과거는 잠시 묻어두고 정치 논리와 이해관계를 뛰어넘어 대국적인 관점에서 접근했으면 한다.

저작권자 © 새수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