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훈동칼럼

 

예상은 빗나가지 않았다. 6·13지방선거에서 제7기 민선 수원시장에 염태영 전 시장이 압도적인 표차로 당선을 거머쥐었다. 줄곧 여론조사에서 상대후보보다 월등한 우위를 달렸다. 선거 기간에 이미 300여 범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시민유권자운동본부가 3회 연속 ‘좋은 후보’로 선정했다. 정파와 상관없이 시민을 위한 정책을 펼치고 약속한 공약을 성실히 이행한 깨끗하고 좋은 후보라는 평가였다. 시민을 앞세운 흠잡을 데 없는 8년간의 시정결과와 ‘더 큰 수원의 완성, 수원특례시’를 내건 야심찬 슬로건이 시민유권자에게 강하게 어필된 듯하다. 대한민국 지방정부 제1의 거대도시, 최초의 수원의 3선 시장 당선을 축하한다.


이젠 선거기간 내내 치열했던 공방도, 갈등의 골도 모두 털어내고 차분한 마음으로 돌아가야 한다. 이긴 자는 패자를 위로하고 패자는 이긴 자에게 꽃다발을 보내자. 이게 진정한 민주주의 얼굴이자 모델이다. 당선인들은 시민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골몰하고 시민들은 선거의 열기에서 벗어나 일상으로 돌아가야 한다. 경제가 어렵다. 서민생활을 옥죄고 있는 현안들이 하나 둘이 아니다. 당선인들의 자리는 권위가 아니라 봉사자의 자리가 돼야 함을 임기 내내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염태영 당선인은 광역행정, 지방정부, 자치분권, 상생협력 등 지역경계가 가진 한계를 극복하려는 의지가 유독 강하다. 이러한 새로운 환경에서 도시경쟁력을 갖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상상력이 지식보다 중요하다. 새로운 시대 민선 제7기는 지자체의 역할변화를 원한다. 시민들은 양질의 행정서비스를 요구한다. 이젠 상상력을 발휘할 차례다. 광역행정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일까?  염태영 당선인이 ‘수원특례시’를 내건 이유일 듯하다.


원인 속에 해법이 있기 마련이다. 세계적 추세에 비춰 봐도 중앙정부보다 지방정부의 역할과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상호 연결돼 있는 현대사회에서 성긴 그물코 같은 중앙정부 정책은 일반 국민들의 관심을 쉽게 지나쳐 버리는 경우가 많다. 첨예한 갈등도 조정하기 쉽지 않다. 하지만 지방정부의 정책은 지역주민들의 피부에 맞닿아 있고 삶과 직결되는 문제들이다. 지방행정은 주민참여와 소통이 필수적이다.


염태영 당선인이 많은 공약을 내걸었지만 시민유권자의 목소리 1순위는 일자리 창출이다. 그 중에도 청년 일자리 문제다. 정부도 일자리 정책에 고군분투하고 있지만 좀처럼 채용이 늘지 않고 있다.  고령화와 경제의 구조적 요인으로 발생해 단기적 처방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시장 트렌드에 반응해 스스로 일자리를 만들어가는 청년 장인들을 조금만 지원한다면 이것이 바로 산업 내 숨어있는 일자리 창출이 아닐까. 당장의 금전적인 지원보다는 사업화 멘토링, 온라인 판로망 개척 등 청년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을 긁어주고 자립을 돕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에베레스트산이 높은 이유는 히말라야 산맥이 받쳐주기 때문이다. 민간기업에서 고용과 투자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정책이 뒷받침해 줘야 한다. 청년일자리에 대한 시민의 목소리에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고 염태영 당선인은 일자리 여건 개선을 위한 정책을 시정의 중심에 둬야 할 것이다.


지방자치의 본질은 더 말 할 나위 없이 ‘시민의 삶의 질’이다. 지금처럼 삶의 문제가 각박한 시대에 기댈 곳은 시민의 정부, 자치단체뿐이다. 지난 3년 연속 최우수 일자리대상을 수상한 수원시가 아닌가. ‘염태영의 8대 비전’을 더욱 다듬어 새로운 산업을 유치해 더 풍요로운 수원경제를 살려가길 바란다. 염태영 당선인은 지난 8년간 시장재임 기간 내내 “나의 정책과 실천은 수원 시민을 더 편하고, 행복하게 하는 것인가?” 라는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달려왔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초심을 잊지 말고 앞으로 4년의 시간을 수원시민의 품에서 훌쩍 큰 염태영 시장으로서 ‘수원특례시의 완성’을 위해 달려가길 바란다.

저작권자 © 새수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